Friday 2 March 2018

글로벌 거버넌스에서의 다자간 무역 체제의 역할


글로벌 거버넌스에서의 다자간 무역 체제의 역할
유엔 대학교 웹 사이트입니다. unu. edu에서 새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세계 무역기구 (WTO)는 세계 거버넌스 분야의 주요 업체입니다. 1995 년 1 월에 창립 된 이래, 거의 모든 주권 국가의 규제 구조로 무역 규칙의 범위를 확대하여 모든 시민의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전통적인 무역 정책의 영역 밖에있는 분야에서 논쟁의 중심에 서게되었다. 시애틀과 다른 지역의 공익 단체의 대응은 WTO 프로세스와 WTO가 중요한 개혁을 수행하는 데있어 역할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개혁은 쉽게 오지 않을 것입니다. WTO의 건축가들은 제도화 된 세계 경제 협력에서 주요 성과라고 생각하는 것을 만들어 낸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WTO가 정부가 원하는 바가 무엇인가하는 것을 성공의 열쇠로 지적했다. 즉, 무역 장벽을 줄이고 합의 된 규칙에 따라 무역을 수행하는 것이다.
핵심 질문은 세계 경제에서 전례없는 성장을 가져 왔고 국가의 평화로운 공존에 기여한 무역 체제의 보전을 보장하는 동시에 현명한 정책 입안자가 현재 WTO 체제에 대한 압력에 어떻게 대응해야하는지입니다. 이 질문은이 책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국제 정책 입안 분야에서 광범위한 이해 관계를 대표하고 잘 작동하는 거래 시스템에 대한 강한 관심을 가진 많은 저명한 인물들이 WTO의 글로벌 거버넌스 역할에 대한 견해를 제시합니다.
게리 P. 삼프슨 (Gary P. Sampson)은 1975 년부터 1983 년까지 UNCTAD에서 근무했습니다. 1984 년부터 1986 년까지 그는 호주 준비 은행의 경제 정책 수석 연구원과 모나 쉬 대학의 정책 연구 센터 교수였습니다. 1987 년에 그는 GATT의 이사와 1995 년 WTO의 이사로 임명되었습니다. 그는 현재 WTO에서 탈퇴 중이다. 유엔 대학교 고급 연구소 (Institute of Advanced Studies)의 국제 경제 거버넌스 (International Economic Governance) 교수와 런던 경제 스쿨 (London School of Economics)의 아카데미 방문 교수를 지 냈습니다. 그는 멜버른 비즈니스 스쿨과 프랑스의 INSEAD에서 정기적으로 가르치고 있습니다. 그는 국제 경제 거버넌스와 관련된 분야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으며, 최근의 저서로는 '무역, 환경 및 WTO : 시애틀 포스트 아젠다'라는 제목이 있습니다.
목차 :
- 공정하고 자유로운 세계 무역 체제의 기초 마련.
- 경쟁 이익의 균형 : WTO의 미래 역할.
- 다자간 무역 체제에서의 신뢰 회복 : "합법성 격차"
- 개발 라운드 실현.
- 세계 거버넌스를 다루기위한 WTO 및 정책에 직면하는 과제.
- 세계 무역기구의 공공 참여
- 무역과 환경 정권 사이의 관계 : 변화를 위해 무엇이 필요합니까?
- 다자간 무역 체제가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 세계 경제가 인권을 위해 일하도록 만든다.
- 건강, 형평 및 무역 : 글로벌 거버넌스 실패.
- 세계 경제 사회 발전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있는 WTO 구축.
- 시애틀 이후의 무역 규칙 : 비즈니스 관점.

기후 변화와 글로벌 거버넌스에서의 가치의 역할.
요아킴 몬켈 바난.
떠오르는 글로벌 거버넌스 분야는 다양한 국제 활동가들의 자발적이고 임시적인 협력을 통해 세계 문제를 관리하기위한 목적으로 수많은 실패와 실패를 가져 왔습니다.
이 시리즈의 수필은 전 세계의 우수 학생 및 젊은 학자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며이 분야의 주요 성과, 장애 및 문제점을 문서화합니다.
저자는 무역 및 기후 변화와 같은 일부 글로벌 거버넌스 문제를 강조함으로써 성공적인 글로벌 거버넌스에 필요한 상향식 지원 부족과 가치 공유라는 과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지적합니다.
2008 년 금융 위기가 터졌을 때 대공황을 촉발시킨 보호주의의 종류가 부상하고 있다는 놀라운 신호가있었습니다. 세계 무역기구 (WTO)에 구체화 된 다자간 무역 체제 덕분에 이러한 경고는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실제로 WTO는 경제적 불확실성 증가를 감시하고 보호 무역주의를 피함으로써 최근의 경제 난국 극복에 적극적으로 기여했다. 이 사례는 다자 무역 체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이를 세계 거버넌스 및 글로벌 협력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역사적 발전으로 확인합니다.
세계 무역기구 (WTO)는보다 약한 국가들이 그들의 집단적 영향력과 이해 관계를 끌어들일 수있게 해주는 민주적 인 방식으로 다자간 무역 협상을 개최한다. 협상력이 거의없는 양자 간 협상과는 대조적이다. 모든 국가는 가장 효과적이고 존중받는 국제 분쟁 해결 메커니즘으로 종종 인식되는 WTO 분쟁 해결 시스템에서 자신의 권리를 보호 할 수 있습니다. 특혜 무역 협정의 조정과 심사의 필요성은 지역화 된 세계에서만 증가하고 WTO는 그 지역을 보장하는 도구를 완벽하게 갖추고있다. 동시성.
세계 경제 거버넌스에서 주목할만한 업적은 G20을 통한 글로벌 거버넌스에 신흥 경제가 통합되는 것입니다. G20의 공동 행동은 세계 경제 침체에 대처하고 금융 규제의 범위를 넓히며 화석 연료 보조금 및 IMF / 세계 은행 개혁을 단계적으로 폐지하도록 도왔습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세계 경제 거버넌스는 환경 지속 가능성을 더 잘 고려해야한다. 국제 기후 협상의 지연에 가장 중요한 공헌 요인은 의심의 여지없이 경제적 경쟁력이므로 무역 관련 문제는 UNFCCC에서 우선 순위가 높아야하며 반대의 경우 기후 문제는 WTO 의제에 있어야한다.
도하 & lsquo; 개발 & rsquo; 라운드는 때때로 연간 3 천억 달러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원래 도하 라운드가 도제로 쓰여졌을 때 생명 지원에 나섰기 때문에 제네바 협상가들이 청정 에너지에 대한 합의와 같이 수확에 익숙한 광범위한 무역 협상을 준비하고 제공해야 할 때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정치 투자 (& Lsquo; Doha & rsquo; 다국적 사회와 미국 선거에서 협상이 너무 복잡해 졌음을 인정하면서 일부 특정 & 도하 이외의 협상에 대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항목이 하늘이 지울 때까지 개최 될 수 있습니다. WTO와의 도하 (Doha)를 확인하는 전략은 비용이 많이 들고 강화가 필요한 성공적인 기관에서 식사를하고있다. 그러나 세계 무역기구 (WTO)와 모든 이익을 가진 도하 라운드 (Doha Round)조차도 부패에 빠져있다면 일반적으로 글로벌 거버넌스의 전망에 대해 무엇을 말할까요?
기후 변화, 지속 가능한 경제로의 전환,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 발견을 위해 글로벌 소수 집단 이익을 제쳐두고 정부가 단기 소수 민족 이익을 제쳐 놓을 수있는 전망에 대해 무엇이 말하고 있습니까?
무역 및 기후 변화와 같이 점차 복잡해지고 통합 된 글로벌 거버넌스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부 차원 이상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시민 사회가 글로벌 거버넌스에 더욱 참여하도록하기 위해서는 세계화가 더 중요한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선거 지원이 필요합니다.
상향식 활동의 좋은 사례는 국제 형사 재판소의 코커스 (Caucus for International Criminal Court)이다. ICC는 정보를 보급하고 법원에 관한 프로그램을 각자의 지역 사회에 알리고, 법원의 비준을 성공적으로 옹호함으로써 ICC를 홍보 한 NGO 연합이다. 전 세계의 국가.
세계화에 대한 과실이나 무관심이 만연하다면, 정부는 단순히 글로벌 거버넌스를 개선 할 인센티브가 없다. 정보에 입각 한 일반 대중은 국제 협력의 장기적인 이점을 인식하고 세계화에 대한 폭 넓은지지를 유지하기 위해 세계화의 이점을 공유하고 협소 한 이해 관계를 무시하고자합니다. 둘째, 사회적, 경제적, 특히 환경 적으로보다 지속 가능한 세계 경제로의 이행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 간 파트너쉽이 발 생해야한다. 기후 변화에 관한 심각한 국제 협약이 수십 년이 아니라도 수 년이 걸리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실용적인 단기 해결책을 탐구해야합니다. 재생 가능 에너지 보조금에 대한 전 지구 적 갈등을 방지하기위한 최선의 방안은 도하 라운드를 저 버리는 경계 안팎에서 에너지 및 천연 자원에 관한 규칙 기반의 틀을 수립하는 것이다. (1)
셋째, 보다 포괄적 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로의 업데이트는 세계에서 4 번째로 강력한 군대 (인도)와 유엔 정기 예산 및 평화 임무에 대한 다른 주요 공헌자들과 함께 (세미) 영구 석임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 할뿐만 아니라, 거부권을 제한하고, 이에 따라 21 세기의 우려를 해결할 수있는 안전 보장 이사회의 민주주의 적자와 끊임없는 정치화를 다루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천연 자원에 대한 분쟁의 증가로 인해 최근 안전 보장 이사회는 기후 변화를 평화와 안전의 위협으로 논의하도록 강요하지만, 일부 회원국은 기후 변화를 수용하는 것을 거부했다. (2)
마지막으로 점점 더 지역화하는 세계를 연결할 수있는 글로벌 촉진자가 유용 할 것입니다. 유럽 ​​연합 (EU)은 20 세기 국제 협력의 주요 성과 였지만 지난 10 년간 잠자고있다. 세계에서 EU의 입장을 더 이상 악화시키는 것을 막을 수있는 유일한 방법은 다른 나라들 간의 협력을위한 경험있는 촉진자의 역할을 실현하는 것이다. 단기적인 문제에도 불구하고 유로존의 현재 재정 위기는 사실 유럽의 정치적 단결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 글로벌 역할을 강화할 수있는 훌륭한 기회입니다. (삼)
세계 수준에서 기후 변화, 무역 및 안보를 관장하는 오늘날의 도전은 단순히 정치적 의지를 넘어선 훨씬 더 광범위한 도덕적 위기를 나타내는 것일뿐입니다. 및 지도력. 왜, 메커니즘의 극적 증가와 협동을위한 포기가 주어진 세계가 때로는 너무나 깊이 분열 된 것인가?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정의, 형평성 및 지속 가능성 원칙을 가르 칠 수있는 세계 공동체에 대한 경쟁 이익 및 이데올로기의 혼란에서 정부와 시민을 안내 할 수있는 가치는 무엇입니까?
무엇보다도 새로운 도전 과제와 번영의 상호 본질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합니다. 문제가 빈곤, 무기 확산, 보건, 세계 무역, 종교, 환경 지속 가능성, 인권, 부패 또는 소수 집단의 권리 등 - 글로벌 거버넌스가 직면 한 문제 중 어느 것도 고립되어 적절하게 해결 될 수는 없다 서로로부터.
둘째, 공유 된 가치에 대한 검색은 효과적인 행동을 위해 가장 중요합니다. 경제 및 기술 자원은 지속 가능성 전환에 중요하지만, 물질적 배타적 고려만으로는 이데올로기 적 및 문화적 변수가 외교와 의사 결정을 형성하는 정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것입니다. 주로 경제 관계에 묶여있는 국가의 공동체를 넘어서서 서로의 행복과 안전에 대한 책임을 분담시키는 공동체로 나아 가기위한 노력에서 가치에 관한 문제는 심의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명료화되고 명시되어야합니다 .
다자주의를 강조하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은 국가 간 공동체 구축을위한 충분한 기반을 제공하지 못할 것이다. 협업만으로는 합법성을 부여하거나 더 큰 이익을 위해 자발적인 결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떠오르는 세계 질서와 그것을 정의하는 세계화의 과정은 인류의 하나됨의 원칙에 기초해야합니다. 이 원칙은 모든 국가 간의 관계 조직을위한 실질적인 기반을 제공합니다. 세계 수준의 개발, 안보 및 인권의 상호 연관성이 점차 커지고 있음에 따라 평화와 번영이 불가분하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국가 전체의 복지가 무시되거나 무시되면 국가 나 지역 사회에 지속 가능한 혜택을 줄 수는 없습니다. 또한 정의와 법치, 인권 존중, 남성과 여성의 평등, 민주주의의 원칙에 확고하게 근거하지 않는 한 효과적이고 평화로운 국제 질서를 수립하고 유지할 수 없습니다.
필요한 것은 개별적인 참가자가 자신의 관심사와 목표를 가진 한 몸의 구성원으로 기능하기 위해 각자의 견해를 초월하려고 노력하는 모든 관리 단계에서의 협의 과정입니다. (4)
서로 다른 문화를 존중하면서 현재의 압도적 인 하향식, 전문가 중심 접근 방식 대신 상향식 참여형 개발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글로벌 시민 의식, 세계를 포괄하는 비전 및 시사와의 협력을 촉진하는 태도와 교육 시스템의 엄청난 변화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가치들이 수립되고 글로벌 거버넌스에 널리 구현되기 전까지는 여러 위기보다는 관리 된 전환의 결과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며 번영하는 세계로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1) 예를 들어 최근에 해결 된 미국과 중국의 풍력 보조금 사례.
(3) Mark Leonard, 왜 유럽이 21 세기를 움직일 것인가? Jeremy Rifkin, The European Dream.

기후 변화와 글로벌 거버넌스에서의 가치의 역할.
요아킴 몬켈 바난.
떠오르는 글로벌 거버넌스 분야는 다양한 국제 활동가들의 자발적이고 임시적인 협력을 통해 세계 문제를 관리하기위한 목적으로 수많은 실패와 실패를 가져 왔습니다.
이 시리즈의 수필은 전 세계의 우수 학생 및 젊은 학자에 대한 평가를 나타내며이 분야의 주요 성과, 장애 및 문제점을 문서화합니다.
저자는 무역 및 기후 변화와 같은 일부 글로벌 거버넌스 문제를 강조함으로써 성공적인 글로벌 거버넌스에 필요한 상향식 지원 부족과 가치 공유라는 과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지적합니다.
2008 년 금융 위기가 터졌을 때 대공황을 촉발시킨 보호주의의 종류가 부상하고 있다는 놀라운 신호가있었습니다. 세계 무역기구 (WTO)에 구체화 된 다자간 무역 체제 덕분에 이러한 경고는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실제로 WTO는 경제적 불확실성 증가를 감시하고 보호 무역주의를 피함으로써 최근의 경제 난국 극복에 적극적으로 기여했다. 이 사례는 다자 무역 체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이를 세계 거버넌스 및 글로벌 협력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역사적 발전으로 확인합니다.
세계 무역기구 (WTO)는보다 약한 국가들이 그들의 집단적 영향력과 이해 관계를 끌어들일 수있게 해주는 민주적 인 방식으로 다자간 무역 협상을 개최한다. 협상력이 거의없는 양자 간 협상과는 대조적이다. 모든 국가는 가장 효과적이고 존중받는 국제 분쟁 해결 메커니즘으로 종종 인식되는 WTO 분쟁 해결 시스템에서 자신의 권리를 보호 할 수 있습니다. 특혜 무역 협정의 조정과 심사의 필요성은 지역화 된 세계에서만 증가하고 WTO는 그 지역을 보장하는 도구를 완벽하게 갖추고있다. 동시성.
세계 경제 거버넌스에서 주목할만한 업적은 G20을 통한 글로벌 거버넌스에 신흥 경제가 통합되는 것입니다. G20의 공동 행동은 세계 경제 침체에 대처하고 금융 규제의 범위를 넓히며 화석 연료 보조금 및 IMF / 세계 은행 개혁을 단계적으로 폐지하도록 도왔습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세계 경제 거버넌스는 환경 지속 가능성을 더 잘 고려해야한다. 국제 기후 협상의 지연에 가장 중요한 공헌 요인은 의심의 여지없이 경제적 경쟁력이므로 무역 관련 문제는 UNFCCC에서 우선 순위가 높아야하며 반대의 경우 기후 문제는 WTO 의제에 있어야한다.
도하 & lsquo; 개발 & rsquo; 라운드는 때때로 연간 3 천억 달러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원래 도하 라운드가 도제로 쓰여졌을 때 생명 지원에 나섰기 때문에 제네바 협상가들이 청정 에너지에 대한 합의와 같은 수확에 익숙한 광범위한 무역 협상을 준비하고 제공 할 때가됐다고 일부 사람들은 말합니다. 정치 투자 (& Lsquo; Doha & rsquo; 다국적 사회와 미국 선거에서 협상이 너무 복잡해 졌음을 인정하면서 일부 특정 & 도하 이외의 협상에 대한 협상이 진행되었다. 항목이 하늘이 지울 때까지 개최 될 수 있습니다. WTO와의 도하 (Doha)를 확인하는 전략은 비용이 많이 들고 강화가 필요한 성공적인 기관에서 식사를하고있다. 그러나 세계 무역기구 (WTO)와 모든 이익을 가진 도하 라운드 (Doha Round)조차도 부패에 빠져있다면 일반적으로 글로벌 거버넌스의 전망에 대해 무엇을 말할까요?
기후 변화, 지속 가능한 경제로의 전환,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 발견을 위해 글로벌 소수 집단 이익을 제쳐두고 정부가 단기 소수 민족 이익을 제쳐 놓을 수있는 전망에 대해 무엇이 말하고 있습니까?
무역 및 기후 변화와 같이 점차 복잡해지고 통합 된 글로벌 거버넌스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부 차원 이상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시민 사회가 글로벌 거버넌스에 더욱 참여하도록하기 위해서는 세계화가 더 중요한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선거 지원이 필요합니다.
상향식 활동의 좋은 사례는 국제 형사 재판소의 코커스 (Caucus for International Criminal Court)이다. ICC는 정보를 보급하고 법원에 관한 프로그램을 각자의 지역 사회에 알리고, 법원의 비준을 성공적으로 옹호함으로써 ICC를 홍보 한 NGO 연합이다. 전 세계의 국가.
세계화에 대한 과실이나 무관심이 만연하다면, 정부는 단순히 글로벌 거버넌스를 개선 할 인센티브가 없다. 정보에 입각 한 일반 대중은 국제 협력의 장기적인 이점을 인식하고 세계화에 대한 폭 넓은지지를 유지하기 위해 세계화의 이점을 공유하고 협소 한 이해 관계를 무시하고자합니다. 둘째, 사회적, 경제적, 특히 환경 적으로보다 지속 가능한 세계 경제로의 이행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 간 파트너쉽이 발 생해야한다. 기후 변화에 관한 심각한 국제 협약이 수십 년이 아니라도 수 년이 걸리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실용적인 단기 해결책을 탐구해야합니다. 재생 가능 에너지 보조금에 대한 전 지구 적 갈등을 방지하기위한 최선의 방안은 도하 라운드를 저 버리는 경계 안팎에서 에너지 및 천연 자원에 관한 규칙 기반의 틀을 수립하는 것이다. (1)
셋째, 보다 포괄적 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로 향하는 업데이트는 세계에서 4 번째로 강력한 군대 (인도)와 유엔 정기 예산 및 평화 임무에 대한 다른 주요 공헌자들과 함께 (준) 영구 석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 할뿐만 아니라, 거부권을 제한하고, 이에 따라 21 세기의 우려를 해결할 수있는 안전 보장 이사회의 민주주의 적자와 끊임없는 정치화를 다루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천연 자원에 대한 분쟁의 증가로 인해 최근 안전 보장 이사회는 기후 변화를 평화와 안전의 위협으로 논의하도록 강요하지만, 일부 회원국은 기후 변화를 수용하는 것을 거부했다. (2)
마지막으로 점점 더 지역화하는 세계를 연결할 수있는 글로벌 촉진자가 유용 할 것입니다. 유럽 ​​연합 (EU)은 20 세기 국제 협력의 주요 성과 였지만 지난 10 년간 잠자고있다. 세계에서 EU의 입장을 더 이상 악화시키는 것을 막을 수있는 유일한 방법은 다른 나라들 간의 협력을위한 경험있는 촉진자의 역할을 실현하는 것이다. 단기적인 문제에도 불구하고 유로존의 현재 재정 위기는 사실 유럽의 정치적 단결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 글로벌 역량을 강화할 수있는 훌륭한 기회입니다. (삼)
세계 수준에서 기후 변화, 무역 및 안보를 관장하는 오늘날의 도전은 단순히 정치적 의지를 넘어선 훨씬 더 광범위한 도덕적 위기를 나타내는 것일뿐입니다. 및 지도력. 왜, 메커니즘의 극적 증가와 협동을위한 포기가 주어진 세계가 때로는 너무나 깊이 분열 된 것인가? 사회의 모든 수준에서 정의, 형평성 및 지속 가능성 원칙을 가르 칠 수있는 세계 공동체에 대한 경쟁 이익 및 이데올로기의 혼란에서 정부와 시민을 안내 할 수있는 가치는 무엇입니까?
무엇보다도 새로운 도전 과제와 번영의 상호 본질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합니다. 문제가 빈곤, 무기 확산, 보건, 세계 무역, 종교, 환경 지속 가능성, 인권, 부패 또는 소수 집단의 권리 등 - 글로벌 거버넌스가 직면 한 문제 중 어느 것도 고립되어 적절하게 해결 될 수는 없다 서로로부터.
둘째, 공유 된 가치에 대한 검색은 효과적인 행동을 위해 가장 중요합니다. 경제 및 기술 자원은 지속 가능성 전환에 중요하지만, 물질적 배타적 고려만으로는 이데올로기 적 및 문화적 변수가 외교와 의사 결정을 형성하는 정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것입니다. 주로 경제 관계에 묶여있는 국가의 공동체를 넘어서서 서로의 행복과 안전에 대한 책임을 분담시키는 공동체로 나아 가기위한 노력에서 가치에 관한 문제는 심의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명료화되고 명시되어야합니다 .
다자주의를 강조하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은 국가 간 공동체 구축을위한 충분한 기반을 제공하지 못할 것이다. 협업만으로는 합법성을 부여하거나 더 큰 이익을 위해 자발적인 결과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떠오르는 세계 질서와 그것을 정의하는 세계화의 과정은 인류의 하나됨의 원칙에 기초해야합니다. 이 원칙은 모든 국가 간의 관계 조직을위한 실질적인 기반을 제공합니다. 세계 수준의 개발, 안보 및 인권의 상호 연관성이 점차 커짐에 따라 국가와 사회 전체에 대한 복지가 무시되거나 무시되는 경우 지속 가능한 혜택을 부여 할 수 없다는 점은 평화와 번영이 불가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정의와 법치, 인권 존중, 남성과 여성의 평등, 민주주의의 원칙에 확고하게 근거하지 않는 한 효과적이고 평화로운 국제 질서를 수립하고 유지할 수 없습니다.
필요한 것은 개별적인 참가자가 자신의 관심사와 목표를 가진 한 몸의 구성원으로 기능하기 위해 각자의 견해를 초월하려고 노력하는 모든 관리 단계에서의 협의 과정입니다. (4)
서로 다른 문화를 존중하면서 현재의 압도적 인 하향식, 전문가 중심 접근 방식 대신 상향식 참여형 개발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글로벌 시민 의식, 세계를 포괄하는 비전 및 시사와의 협력을 촉진하는 태도와 교육 시스템의 엄청난 변화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가치들이 수립되고 글로벌 거버넌스에 널리 구현되기 전까지는 여러 위기보다는 관리 된 전환의 결과로 안전하고 지속 가능하며 번영하는 세계로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1) 예를 들어 최근에 해결 된 미국과 중국의 풍력 보조금 사례.
(3) Mark Leonard, 왜 유럽이 21 세기를 움직일 것인가? Jeremy Rifkin, The European Dream.

세계 무역 체제의 상승하는 힘 - 중국과 메가 지역 교역 협상.
이 기사는 세계 무역기구 (WTO)와 세계 무역기구 (WTO) 내에서 세계 무역 체제의 상승하는 힘의 역할을 조사합니다. TPP (Transpacific Partnership) 및 TTIP (Transactacional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와 같은 국제 무역의 글로벌 통치에 대한 의미와 양자 간 및 (메가) 지역 협약의 출현을 탐색합니다. 그것은 중국과 다른 상승 세력이 변화하는 무역 거버넌스에 어떻게 반응하고 개발 도상국과 신흥 경제국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 하는지를 검토한다. 세계 무역 체제, 특히 다자간 협상을위한 포럼 인 WTO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서는 개혁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세계 무역 체제의 현재 제도적 불평등을 평가하고 현상 유지는 WTO 내의 변화를 제한하는 역할을한다고 주장한다. 세계 무역기구 (WTO)를 넘어서는 현재의 무역 체제 설정도 검토되어야한다. 또한 G20은 세계 무역기구 (WTO)와 세계 무역 체제 개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소개.
2016 년 그룹 (G20)의 중국 대통령직 기간 동안 국제 무역과 투자가 두드러진 역할을했습니다. G20의 국제 무역 및 투자의 중요성은 중국 G20 의장국, 특히 2016 년 7 월에 발표 된 무역 장관 회의 성명서 및 2016 년 9 월 G20 항저우 서밋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2008 년 11 월 세계 금융 및 경제 위기와 강력하게 계약 된 국제 무역 단계에서 첫 번째 "정상 회담"정상 회담이 개최 된 이래 국제 무역은 G20 의제에 들어갔다. 1929 년 이후의 경제 위기는 보호 무역주의 조치로 인해 심화되고 연장되었다는 점을 상기하면서 G20 국가들은 국제 교역에 새로운 장벽을 세우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세계 무역기구 (WTO)의 후원하에 개최되는 다자 협상이 도하 개발 의제 (도하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끝내 겠다는 의지는 G20 정상 회의 선언의 표준 레퍼토리의 일부였다. 그러나 G20 정상 회담은 세계 무역 시스템 개혁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선언문에는 다자간 무역 체제를 강화하기위한 모호한 약정이 포함되어 있으며 WTO 규칙에 따라 상호 보완적인 양국 간 및 다자간 무역 협정 체결에 대한 진술이 포함되어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5 년 12 월 나이로비에서 열린 마지막 WTO 각료회의 이후로 도하 라운드와 WTO의 다자간 협상 기둥의 미래는 그 어느 때보 다 불확실하다. WTO 加盟 국가들은 컨센서스를 찾기 위해 필연적으로 교착 상태에 빠졌으며 15 년이 지난 후에 도하 협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지 못했다. 2015 년 중요한 회원국, 특히 미국 (미국)은 도하 라운드 종료를지지한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나 많은 신흥국과 개발 도상국은 계속 될 것을 주장한다. 도하 라운드의 진전에 대한 반응으로 미국과 유럽 연합 (EU)이 주도하는 주요 무역 세력이 점차 양국 간 및 지역 무역 협상을 협상하고있다.
세계 무역 체제의 미래 - 특히 다자간 협상을위한 포럼으로서의 WTO의 미래 - 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개혁 옵션을 고려해야합니다. 모든 개혁은 2015 년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위한 의제와 모든 유엔 회원국이 채택한 17 개의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고려해야한다. SDGs는 " 개방적이고 비 차별적이며 평등 한 다자간 무역 체제 "라고 정의했다. 그러나 그런 체제는 점점 더 자유 무역 협정의 압력을 받고있다.
최근 세계 무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있는 국가 간 또는 지역간의 심화 된 통합 파트너십이 최근 더욱 중요 해졌다. 그러나 중국과 다른 상승 세력은 협상 파트너가 아니다. 미국과 다른 11 개의 환 태평양 국가와 미국과 EU가 현재 협상중인 대서양 횡단 무역 투자 협정 (TTIP)에 의해 2016 년 2 월 서명 된 Transpacific Partnership (TPP)과 같은 거대 지역 협약 - 관세를 줄이는 것 이상을 목표로하고있다. 또한 경쟁, 투자 및 표준과 같은 문제를 규제하려고합니다. TTIP와 TPP는 모두 경제적 이익을 반영하며 지정 학적, 전략적 추론, 특히 중국에 대한 견해와 상승하는 힘을 "억제"하려는 시도에 의해 유도된다.
메가 지역 무역 협정은 국제 무역의 글로벌 거버넌스, 특히 상승하는 권력과 개발 도상국의 관점에서 무엇을 의미 하는가? 이러한 맥락에서 G20이 할 수있는 역할은 무엇입니까? 반세기 이상 동안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GATT) 및 세계 무역기구 (WTO)를 비롯한 세계 경제 거버넌스 아키텍처의 기관은 미국 및 기타 선진국에 의해 주도되었다 (Gilpin 1987; Ruggie 1996). 개발 도상국은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현재 중국, 인도, 브라질 (Beeson & amp; Bell 2009, Hurrell 2006, Margulis & Porter 2013, Mittelman 2013, Stephen 2012, Young 2010)과 같은 상승하는 국가는 구 권력의 지배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중국과 같은 강국의 힘은 세계 경제를 지배하기위한 대안을 육성 할 수 있고 잠재적으로보다 공평한 접근법을 조성 할 수 있을까? (Hardt & Negri 2000; Pieterse 2000; Evans 2008; Strange 2011)?
이 글에서는 세계 무역 체제의 제도적 불평등, 즉 약한 국가에 대해 체계적으로 특권을 부여하는 국제기구의 특성에 대해 권력과 개발 도상국이 어떻게 상승하고 있는지를 살펴 봅니다 (Fehl 2014). WTO의 제도적 불평등 개념을 조사하고 양자 무역 및 세계 무역 협정 (WTO)이 세계 무역 규칙을위한 다자간 의사 결정 포럼, WTO에 권력 대응으로 출현하는 방식 글로벌 경제 거버넌스의 변화, 그리고 상승하는 세력이 변화하는 무역 거버넌스의 경 향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기사는 또한 제도적 층화와 "포럼 쇼핑"의 진행 과정과보다 실질적인 "체제 전환"의 징후를 고려할 때 세계 무역 체제에서 상승하는 힘의 역할을 탐구한다. 포럼 쇼핑에서 쇼핑객은 특정 문제에 대해 유리한 결정을 내릴 수있는 장소를 전략적으로 선택합니다 (Drezner 2009). in “regime shifting”, actors redefine the larger political context so as to ultimately reshape the system of rules itself (Alter & Meunier 2009). This article argues that some members of the WTO, the dominant ones, benefit from the current process of layering, shopping, and shifting. These mechanisms, as is argued in this paper, have become considerably more relevant due to the emergence of mega-regional trade agreements.
The article shows that when examining how the institutional status quo limits institutional changes within the WTO, the situation outside that multilateral forum also must be addressed. Since the old powers have much better opportunities to engage in inter-organizational strategies such as forum shopping (Drezner 2009) and regime shifting (Alter & Meunier 2009), they can pressure countries which cannot reshape the system as easily and thus have less attractive “outside options” beyond the WTO. The behavior of actors within individual organizations like the WTO must be analyzed – as well as the wider institutional context which may involve other organizational mechanisms to increase, balance, or reduce inequalities.
The remainder of this article discusses the role of rising powers in the WTO and explores the emergence of bilateral and (mega-)-regional agreements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global governance of international trade, focusing on how rising powers are reacting to the changing landscape of trade governance and the repercussions for developing and emerging economies.
Rising Powers in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In the WTO, agreements are formally reached on the basis of consensus, which makes the GATT/WTO system seem remarkably egalitarian when compared with the systems of voting according to economic weight at the IMF and the World Bank. However, for the most of its history, the GATT/WTO system has been dominated by the US and other economically powerful countries: The most significant negotiations take place in informal meetings of an elite inner circle of states. For quite a while, well into the Doha Round that started in 2001, the traditional powers managed to keep the rising powers from unsettling their hierarchy, for instance by claiming that the new round of negotiations would be a “development round” but not questioning if big emerging economies like China, India and Brazil should still be called “developing”.
In the Doha Round, the traditionally dominant powers began to be more open to the idea of altering the old hierarchy. Changes were accelerated when, prior to the Cancun Ministerial in 2003, the EU and the US introduced a joint proposal on agriculture that triggered strong opposition from developing and emerging economies and encouraged Brazil and India to cooperate. The two countries created a major coalition of developing and emerging economies – the Group of 20 in the WTO (G20-T), which helped to defeat US and EU proposals in Cancun and destabilize the WTO’s traditional power structure (e. g. Looney 2004; Baldwin 2006; Clapp 2006; Hurrell & Narlikar 2006; Evenett 2007; Grant 2007; Ruiz-Diaz 2005; Hopewell 2015). Under the leadership of Brazil and India, the G20-T transformed the WTO’s institutional inequality. After Cancun, the old inner circle of the “Quad” (US, EU, Japan, and Canada) was replaced by a new inner circle, which included not only the US and the EU but also Brazil and India and later also China, thereby changing the negotiating hierarchy. Less powerful countries also got more say in different stages of WTO negotiations.
Whereas Brazil and India entered the inner circle of the WTO after 2003, China, which had joined the WTO in 2001, kept a more low-key profile in the negotiations. Then, in 2008, it was invited to join the inner circle (Hopewell 2015). China’s growing status in the WTO – and other domains of global governance – has largely been driven by its increasing economic weight (Ikenberry 2008; Babones 2011; Beeson 2009; Breslin 2010; Hung 2009; Subramanian 2011; Wang & French 2014): It is now the world’s second largest economy and the world’s largest exporter of goods.
However, the rising powers were not admitted to the inner circle and the WTO’s informal inequality was not undermined only because of a changing and more equitable distribution of economic power: Brazil and India, economically not as weighty as China, were able to rise because of their mobilization and leadership of developing and emerging economy coalitions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Doha Round (Hopewell 2015). By building successful coalitions, Brazil and India became the first countries capable of challenging the traditional powers, overturning the old power structure, and emerging as key new actors in the WTO. However, coalitions tend to be less stable and effective than economic might. Analysis of recent developments in the global trading system beyond the WTO shows that the role of economic factors cannot be denied and that the institutional status quo thwarts rising powers’ efforts to promote their changing power positions and normative claims about the future design of the multilateral trade regime.
Over the years, the G20-T coalition had been strained, particularly prior to and during the WTO Nairobi Ministerial in 2015. In Nairobi,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wanted to prematurely end the Doha Round or, alternatively, to expand the Round’s ambit by including their “new” issues of interest, including e-commerce, labor, environment and competition policies, which developing countries oppose, fearing that high standards might act as non-tariff barriers, hurting their exports. During the final night of the Ministerial in Nairobi, at the meeting of the inner circle of negotiating countries, India and China fought for clear language reaffirming the continuation of the Doha negotiations. During the marathon negotiations, India apparently yielded ground while the US and the EU – with Brazil – managed to secure a substantive agreement about eliminating agricultural export subsidies, which many hailed as a milestone. The agreement did not accommodate India’s demand for a definite time-frame on public stockholding programs and a ‘special safeguard mechanism’ (SSM) that would allow tariffs to be introduced in case of an import surge. India was eclipsed in the WTO and the G20-T, and Brazil and India’s once decidedly successful coalition fell apart.
Why did the G20-T coalition fail, and with it the ability of rising powers like Brazil and India and developing countries to challenge the WTO’s inequality? Brazil and India were highly dependent on the backing of other states. The two countries also disagreed on the “development discourse,” with India referring to the development concerns of the poor in food-net-importing countries and Brazil focusing on net exporters. Another source of instability for rising powers and developing countries is that the old powers have better outside options beyond the WTO.
Arguably, the multilateral system became increasingly unequal during the first decades of its existence, with the Quad countries establishing a hierarchical order of states and tendencies towards exclusiveness. Especially following the Uruguay Round of trade negotiations and during the Doha Rounds, efforts have been made to better include emerging and developing countries in the agenda-setting and negotiation processes, reducing the procedural inequality. In the WTO, just as in the context of other international institutions, “ideational” and “material” factors matter (Fehl 2014), and they seem to foster less inequality in the WTO over time. Normative demands usually favor equality over inequality. Recent global economic power shifts and the rise of new powers have reduced inequality in the distribution of economic capabilities, which in turn could foster more equality, both formally and informally. However, as subsequent sections illustrate, the prospects for less institutional inequality in the global trading system have fewer clear-cut positive implications than might be expected.
Mushrooming Free Trade Agreements.
An examination of the whole trading system – including the free trade agreements that are mushrooming outside the multilateral regime – underlines the significance of the institutional status quo of formal equality in the WTO. Formal equality in consensus decision-making contributes to deadlock and constrains efforts by the wider WTO membership to effectively promote their power positions and normative claims for the future design of the global trading system: Powerful members can always threaten to abandon the WTO as a forum for making trade rules and focus on (mega-)regional rather than on multilateral trade deals – thereby undermining the WTO’s centrality.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WTO that create more equality among all the member states, the powerful members can simply set up new, even more unequal institutions that weaken, and to some extent replace, the multilateral institution.
This process can be illustrated in the context of the global trading system: The slow progress of the Doha negotiations has led to debates about reforming the trade regime, such as by abandoning consensus decision-making for majority voting. However, such reforms have not been instituted. Instead, deadlock in the WTO rather generated an institutional innovation to sidestep the blockage through more and more bilateral and (mega-)regional rather than multilateral approaches. There is now a “spaghetti bowl” (Bhagwati 1995) of trade agreements: Hundreds of such free trade agreements have been concluded. But bilateral and regional trade-rule-making tends to entail more inequality than multilateral trade-rule-making because less powerful countries have fewer – if any – options to veto the proposals of the more powerful, and fewer opportunities to create coalitions.
Recently, mega-regional trade negotiations have become increasingly relevant. If mega-regionals like the TPP and TTIP are established, a number of third countries, including rising powers and developing countries, are likely to suffer from the negative impacts of these agreements. Trade agreements lead to trade diversion effects. For example, lower trading costs between the USA and the EU would lead to increased trade between the two economies and reduced trade with third countries. Moreover, with regard to TTIP, the US and the EU will write new rules in area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ch could raise the threshold for enterprises which seek to enter the North American and European markets. TTIP is expected to negatively affect a number of developing countries and emerging economies including China (Felbermayr et al. 2015). China and other developing and emerging economies, including Thailand will also be negatively impacted by TPP (Petri & Plummer 2016).
So why are third parties – all the countries excluded from mega-regional negotiations – willing to accept institutionalized inequality in the context of the rise of mega-regional agreements? Many have no choice. They probably will have to respect the rules of mega-regionals in the future even though they have had no say in shaping them. They also cannot stop these initiatives that are occurring outside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In the context of TTIP and TPP, strong states, led by the US and the EU, write institutional rules which benefit them and generate positive (Pauwelyn 2014) as well as negative externalities, for instance through trade diversion. All the states that are not at the negotiation table for the new mega-regional agreements will end up being rule takers with regard to many of the important trade rules of the future.
Moreover, the better outside option of the old powers in the context of mega-regionals puts the rest of the WTO membership under pressure. For example, given the proliferation of bilateral and (mega-)regional agreements at the 2015 WTO Ministerial, many member states, including the rising powers, felt they had to agree to the proposed Nairobi Package. The lack of any outcome could have helped foster “the end of the consensus-based organization as a meaningful negotiating forum and usher in an era dominated instead by mega-regional deals like the Trans-Pacific Partnership, where the US gets to choose who’s in and who’s out” (Guida 2015).
As the US Senate Finance Committee Chairman put it: “America can’t wait [for] China and India… Instead, we should aggressively push for the conclusion of high-standard trade deals with our partners, who are willing to abide by the rules and meet the terms of our agreements” (Guida 2015). According to other observers, developing countries “have not woken up that this is a different world… If they’re not going to play ball in the WTO, the US and EU will pick up the ball and go play somewhere else” (Guida 2015). TTIP and TPP might thus be regarded as wake-up calls to other WTO members who will make compromises for fear that the US and the EU will lose all interest in the multilateral negotiation forum of the WTO. This is bad news for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less powerful, poorer countries need the WTO in order to have a better chance to be heard.
China and Mega-Regional Trade Negotiations.
The developing countries’ exclusion from negotiating new agreements such as the TPP and the TTIP, whose rules they will nevertheless have to follow because of the sheer market power of the countries involved, raises important questions concerning inequality. The countries that are relatively insignificant in terms of economic status and geopolitical position have the most to fear from mega-regionals. African countries, for example, are not part of any mega-regional negotiations.
On the other hand, rising powers are in a better position to enter the competition for regional trade partnerships due to their economic and political weight. Indeed, China has put the spotlight on this challenge. Partly in reaction to TTIP and TPP, China has promote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that focuses on connectivity and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the rest of Eurasia. It has also been actively promoting regional trade partnerships, pushing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a proposed mega-trade agreement in Asia.
More recently, China has begun to take interest in joining other mega-regionals, above all TPP. Its “wait and see” attitude indicates that China might be willing to join TPP at a later stage (Naughton et al. 2015). Simulations of several ongoing mega-regional negotiations suggest that China’s accession to TPP and membership in RCEP would generate the highest welfare outcomes for China (Li et al. 2016).
While China has become an initiator and active supporter of mega-regional trade negotiations and related activities (He & Yang 2016), Brazil and India have been more passive. India is worried about how TTIP and TPP will impact its economy. With regard to TPP, India is concerned about finding itself in a chess game between the “Chinese dragon” and the “US eagle” (Lehmann & Fernandes 2014). In the past, India has been wary of free trade agreements and focused mostly on regional and South-South agreements (Lehmann & Fernandes 2014). While India is participating in the RCEP negotiations, the country has not been pushing other regional and mega-regional initiatives. Compared with China, India has removed barriers to international trade slowly over the last decades. Its cautious approach to trade liberalization can be explained by India’s complicated political system, which undermines compromises on trade policy, and its concerns about the potential effects on the poor: Almost one third of the Indian population still lives below the poverty line (Lehmann & Fernandes 2014). At the same time, the risks of isolation and being a mere rule taker provide the Indian government with reasons to become more active in the trade arena – above all in the multilateral system, but also in the G20. For instance, perhaps with China and Brazil, India could propose negotiations to open up goods and services markets among all developed economies and the G20 developing and emerging economies, with the option for others to participate at a later stage (Kelkar & Singh 2015).
Brazil has not been very involved in negotiating free trade agreements and instead has strongly focused on the multilateral trade liberalization track of the WTO. Brazil’s main preferential agreement in terms of trade value is MERCOSUR (the Southern Common Market). Brazil does not belong to any of the recent or current mega-regional negotiations and has not concluded any significant free trade agreements in the last two decades (George 2016). The country must decide whether to concentrate on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its industry or strengthening its position in the global trade governance arena (Giacalone 2015). While Brazil is reluctant to liberalize trade and maintains relatively high trade barriers, there have been recent indications of a potential change in attitude. Along with other drivers such as the recent economic slowdown, TTIP seems to have convinced the Brazilian government and its economic elites of the need to consider being more open to the globalized world (Malamud 2014). Moreove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ideas for novel or re-launched Latin American initiatives – for instance, the convergence of MERCOSUR and Pacific Alliance and the acceleration to enlarge MERCOSUR – partly in response to TTIP. As the region’s largest economy, Brazil is in a key position to influence the potential and limits of these options (Giacalone 2015). Mega-regional trade negotiations can thus be said to affect Latin American regional integration and Brazil’s stance towards trade agreements.
While the rising powers have some leeway to counter the US - and EU-dominated TPP and TTIP initiatives, they are still concerned about being excluded from these agreements. Chinese spokesmen have several times voiced concern about their country’s exclusion from TTIP and TPP. The start of the TPP negotiations created anxiety in China about how TPP might embody a US strategy to contain China. More recently, the spotlight has shifted to TTIP and the challenges of that transatlantic deal for China (Yang & Yiwei 2015).
In light of TPP and TTIP, Chinese experts and decision-makers have continuously underlined the WTO’s importance for the global trading system as well as the potential of the G20.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maintain communications on global trade, especially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trade ministers’ conference of the G20,” as Wang Wen, the executive dean of Chongyang Institute for Financial Studies, stressed during a talk on the rise of trade agreements (Yiming 2016). The G20 Leaders’ Communique of the Hangzhou Summit during the Chinese G20 presidency stresses the commitment to “work together to further strengthen the WTO.”
The overall concern is that rising powers such as China could react to US - and EU-lead mega-regional negotiations by fostering opposing trade blocs. Rather than following a largely exclusive approach, the transatlantic partners should focus on global cooperation and work with rising powers and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given these states’ economic potential and global challenges in other policy fields, such as climate change, which can only be overcome together (Berger & Brandi 2015).
결론.
Mega-regional trade agreements are undermining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more than ever. To secure the WTO’s future as a forum for negotiations, it is necessary to discuss reforming the global trading system. Such a debate has become more pressing – above all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ing countries that suffer most from the weakening of the WTO.
This article has illustrated that the institutional status quo can limit actors’ efforts to make use of their changing power positions. It has also shown that it is not just an institution’s status quo that matters, in this case that of the WTO, but also the institutional context and member states’ outside options. If, as with the WTO, the outside options are better for dominant members – the old and rising powers ¬– than for the subordinates, intra-institutional deadlocks could lead to the creation of new institutions, which not only tend to reproduce but may also even deepen inequalities. This article has also shown how important it is to assess not only formal but also informal dimensions of institutional inequality. In the WTO, informal inequality is decisive and considerable although formal equality is strongly institutionalized in the practice of consensus-based decision-making.
In the WTO, ideational and material factors seem to foster less inequality over time: Normative demands usually promote equality rather than inequality. Insofar as recent global economic power shifts and new powers like China, India and Brazil have reduced the inequality of economic capabilities, this could foster more formal and informal equality.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has illustrated that the WTO’s institutional inequality creates a dilemma. Insofar as inequality in the WTO is flattened due to material or ideational factors, the institution’s effectiveness might be viewed as being limited, reducing its benefits, principally for powerful countries, who then abandon the WTO and the multilateral syste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at mirror how power is distributed in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act as vehicles for the interests of the economically most powerful states are only one part of the story. The other part is the powerful countries engaging in forum shopping – for instance, by fostering mega-regional negotiations.
The G20 could play a key role in the WTO’s future and the much-needed reform of the global trading system (Berger & Brandi 2016). Such a reform is challenging, especially if it is to also contribute to the UN Agenda 2030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SDGs.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realities of the global trading system and the aspirations of the Agenda 2030 is a formidable challenge. It cannot be tackled effectively in either the WTO or the UN. The G20 is a suitable forum for helping to bridge that gap.
참조.
Alter, KJ & Meunier, S 2009, ‘The Politics of International Regime Complexity’, Perspectives on Politics, vol. 7, no. 1, pp. 13-24.
Arrighi, G 2007, Adam Smith in Beijing: Lineag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New York: Verso.
Babones, S 2011. ‘The Middling Kingdom: The Hype and the Reality of China’s Rise’ Foreign Affairs, vol. 90, no. 5, pp. 79-88.
Beeson, M & Bell, S 2009, ‘The G-20 and International Economic Governance: Hegemony, Collectivism, or Both’, Global Governance, vol. 15, no. 67, pp. 67-86.
Beeson, Mark. 2009. ‘Trading Places? China, the United States, and the Evolution of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vol. 16, no. 4, pp. 729-41.
Berger, A & Brandi C 2016, The G20 and the Future of the Global Trading System, Bonn: German Development Institute / Deutsches Institut für Entwicklungspolitik.
Berger, A & Brandi, C 2015, What Should Development Policy Actors Do About the Transatlantic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 (TTIP)? Bonn: German Development Institute / Deutsches Institut für Entwicklungspolitik.
Bhagwati, Jagdish. 1995. ‘Trade Liberalisation and ‘Fair Trade’ Demands: Addressing the Environmental and Labour Standards Issues’ World Economy, vol. 18, no. 6, pp. 745–759.
Breslin, S 2010, ‘China’s Emerging Global Role: Dissatisfied Responsible Great Power’, Politics, vol. 30, pp. 52-62.
Drezner, DW 2009, ‘The Power and Peril of International Regime Complexity’, Perspectives on Politics, vol. 7, no.1, pp. 65-70.
Evans, P 2008, ‘Is an Alternative Globalization Possible?’ Politics & Society, vol. 36, no. 2, pp. 271-305.
Fehl, C 2014, ‘Unequal Power and the Institutional Design of Global Governance: The Case of Arms control’,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vol. 30, no. 3, pp. 505-531.
Felbermayr, G, Kohler, W, Aichele, R, Klee, G, & Yalcin, E, 2015, Potential Impacts of the Transatlantic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 (TTIP) on Developing and Emerging Economies, ifo Institut, München.
Gilpin, R 1987, The Political Economy of International Relation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Guida, V 2015, ‘Nairobi is make-or-break moment for WTO’, Politico, 12 December. Available from: politico. eu/. [31 August 2016].
Hung, HF 2009, China and the Transformation of Global Capitalism,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Hurrell, A 2006, ‘Hegemony, Liberalism and World Order: What Space for Would-be Great Powers?’, International Affairs, vol. 82, no.1, pp.1-19.
Ikenberry, John. 2008, ‘The Rise of China and the Future of the West: Can the Liberal System Survive?’, Foreign Affairs, January/February, pp. 23-37.
Margulis, ME. & amp; Porter, T 2013, Governing the Global Land Grab: Multipolarity, Ideas, and Complexity in Transnational Governance, Globalizations, vol. 10, no. 1, pp. 65-86.
Mittelman, JH 2013, ‘Global Bricolage: Emerging Market Powers and Polycentric Governance’, Third World Quarterly, vol. 34, no. 1, pp. 23-37.
Naughton, B, Kroeber, AR, De Jonquières, G & Webster, G 2015, ‘What Will the TPP Mean for China?’, Foreign Policy, October.
Negri, A & Hardt, M 2000, Empir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Pieterse, JN 2000, ‘After Post-Development’, Third World Quarterly, vol. 21, no. 2, pp. 175-191.
Ruggie, JG, 1996, Constructing the World Polity: Essays on International Institutionalization, London: Routledge.
Stephen, MD, 2012, ‘Rising Regional Powers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The Foreign Policy Orientations of India, Brazil and South Africa’, Global Society, vol. 26, no. 3, pp. 289-309.
Strange, Gerard. 2011, ‘China’s Post-Listian Rise: Beyond Radical Globalisation Theory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Neoliberal Hegemony’, New Political Economy, vol. 16, pp. 539-559.
Subramanian, A. 2011, ‘The Inevitable Superpower: Why China’s Dominance Is a Sure Thing’, Foreign Affairs, vol. 90, no. 5, pp. 66-78.
Wang, H, & French, E, 2014, ‘China in global economic governance’, Asian Economic Policy Review, vol. 9, no. 2, pp. 254-271.
Yang, J & Yiwei, W 2015, TTIP: The Economic and Strategic Effects. CIIS. Available from: ciis. org. cn/. [31 August 2016].
Yiming, G 2016, China’s Exclusion from TPP and TTIP against Globalization. Available from: china. org. cn/. [31 August 2016].
Young, AR 2010, Perspectives on the Changing Global Distribution of Power: Concepts and Context, Politics, vol. 30, no. 1, pp. 2-14.
저자에 관하여 :
Clara Brandi.
Dr Clara Brandi is a Senior Researcher and Project Leader in the Department “World Economy and Development Financing” at the German Development Institute / Deutsches Institut für Entwicklungspolitik (DIE). Clara Brandi studied economics at the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and at the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As Michael-Wills-Scholar, she completed the MPhil in Politics at the University of Oxford. She received her PhD from the European University Institute, Florence. Her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global governance, international trade policy and trade agreements and interlinkages between trade,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최신 기사.
세계 무역 체제의 상승하는 힘 - 중국과 메가 지역 교역 협상.
Other Articles in this Issue.
Foreword: The Launch of Rising Powers Quarterly.
China as a Rising Power versus the US-led World Order.
Thinking Inside the Box: China and Global/Regional Governance.
Global Problem-Solving Approaches: The Crucial Role of China and the Group of Rising Powers.
The Changing Role of China in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China’s Leadership in Global Economic Governance and the Creation of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Global Trade Governance and G20: A Response to Mega-Regional Trade Agreements.
China-U. S. Cooperation in Central and South Asia.
Rising Powers and International Security: the BRICS and the Syrian Conflict.
Towards a Post-Western Global Governance? How Africa-China relations in(form) China’s Practices.
RISING POWERS QUARTERLY.
Volume 2, Issue 3.
2017 년 8 월.
Instruction for Authors.
Rising Powers Quarterly is a peer reviewed, non profit, free-access journal dedicated to the growing role of rising powers in global governance.
If you are preparing a manuscript to submit to our journal, please visit our submission guideline for further information.
A Global Network for the Study of Rising Powers in Global Governance.

No comments:

Post a Comment